관리 메뉴

I LOVE EJ

hosts 를 이용한 웹서핑을 좀더 빠르게 하기 본문

Os & Server/XP

hosts 를 이용한 웹서핑을 좀더 빠르게 하기

BeOne 2008. 6. 13. 09:35

hosts 파일 이해하기

hosts 파일을 알고 있는가? 만약 알고 있다면 컴퓨터 중급 유저 이상이라고 자부해도 좋을 것이다.

 

윈도우즈의 파일찾기를 이용해서 hosts 파일을 검색해 보라. 딱 한개가 검색될 것이다.
Windows xp 의 경우에는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Windows 2000 의 경우에는 c:\winnt\system32\drivers\etc\hosts
Windows 98의 경우에는 c:\windows\hosts (Window 98은 확실치 않다. 하도 오래되서리... ^^;)

 

사실 이 파일은 Windows 운영체제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운영체제에 포함되어 있다. 흔히 알고 있는 linux, unix 등등..
그렇다면 이 hosts 파일은 과연 어떨때 사용하는 것일까? 설명할려면 꽤 길어질듯 하다. 사실 어려운 내용은 아닌데 이 파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이름풀이에 대해 어느정도 알아야 하기 때문에 결코 만만한 내용은 아니다.

 

요즘 인터넷 이름풀이는 DNS(Domain Name Service)를 통해 이루어진다. DNS에 대한 설명은 과감하게 생략하겠다. (사실 매우 중요한 내용이다. 꼭 알아두기 바란다.) 그렇다면 DNS 이전에는 어떤것을 사용했을까? 바로 hosts 파일이다. hosts 파일은 hosts 이름을 적어놓은 text 파일이다. 때문에 텍스트 편집기로 편집이 가능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렇다면 hosts 란 무엇일까? 예를 들어보자. www.abs.or.kr → 요건 우리 홈페이지 주소이다. 흔히 도메인이라고 한다. 이 중 `www`가 바로 호스트 이름이다. (어떤 책에서는 `기계명`이라고도 설명하고 있다.) 컴퓨터 이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렇지만 Windows의 NetBIOS 네임과는 다르다. 두개의 차이점을 구별할줄 알아야 하지만 본 강좌에서는 별로 중요하지 않은 부분이기 때문에 대충 넘어가도록 하자.

 

예전에는 DNS대신에 hosts 파일을 사용했다고 앞서 이야기했다.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가 몇대되지 않았기 때문에 힘들게 이름풀이를 하지 않고 그냥 hosts 파일을 참조하여 인터넷을 하였다. 감이 오시는지... (내가 봐도 이해가 안돼. -_-;;)

 

위 메모장 그림을 잘 읽어보면 감이 올지도 모르겠다. IP 주소를 호스트명으로 매핑한다는 얘기다.

 

www.daum.net 사이트의 IP 주소가 211.233.28.115 이라고 가정하자. 사용자가 인터넷 익스플러로 주소창에 www.daum.net 이라고 입력하면 컴퓨터는 hosts 파일을 검색하여 www.daum.net과 매핑된 IP 주소를 가지고 다음넷 홈페이지를 찾아가는 것이다. 이 방법이 초기 인터넷 이름풀이이다.

 

그래서 예전엔 이러한 호스트 파일을 한곳에 작성하여 ftp 서버에 올려놓으면 사용자들이 정기적으로 다운받아 자신의 컴퓨터에 위치시킨다. 만약 갱신이 되지 않은 오래된 hosts 파일을 가지고 있다면 인터넷을 할 수 없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었다.

 

재밌는 것은 요즘에도 이러한 hosts 파일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Windows 는 인터넷 통신을 할때 DNS보다는 hosts 파일을 먼저 참조한다. 따라서 hosts 파일에서 원하는 호스트명을 찾는다면 더이상 DNS에 쿼리(query, 질의)를 하지 않는다.

 

hosts 파일로 장난치기

이 정도면... 필자가 하고자 했던 `장난`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그것이다. 호스트명에 엉뚱한 IP를 기재해 넣는것이다. ^___^

 

이는 필자가 가끔 써먹는 방법인데... 대부분이 그렇겠지만 필자의 동생은 daum.net(다음 카페 포함) 사이트에 아주 자주간다. 문제는 한번 들어가면 좀처럼 자리에서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컴퓨터 없이는 못사는 필자로서는 상당한 피해가 아닐 수 없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hosts 파일을 변경한 것이다. 다음과 같이 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즉 그림처럼 호스트명을 기재하면 daum.net 사이트으로 들어갈려고 해도 엉뚱하게 10.10.0.1 IP로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물론 10.10.0.1은 사설 IP 주소로 예약된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 결국 동생은 컴퓨터 앞에 앉아 있을 의미를 잃어버릴 것이다. ^^; 다음과 같은 웹브라우저가 보일테니... (필자는 daum.net 사이트 서버가 다운되었다고 박박 우기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검색버튼을 눌러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러분도 이런 장난 한번 해보시라. 한가지 유의할것은 위와 같이 설정한 다음에 `인터넷 캐쉬 파일`과 `히스토리 목록`을 지우는 것이 좋다. 리부팅을 해준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물론 어느정도 중급자라면 이런 문제는 쉽게 찾아낼 수 있다. 어디까지나 초보에게만 통하는 방법이다.

 

hosts 파일의 진정한 가치

이런식으로 강좌를 하니... hosts 파일이 꼭 안좋은 것으로만 비춰지는듯 하다. 사실은 그게 아닌데...


그렇다면 hosts 파일의 진정한 존재가치는 무엇일까? 답은 바로 속도이다. hosts 파일을 이용하면 인터넷 속도가 조금이나마 빨라진다. DNS 서버에 쿼리를 하지 않고 바로 IP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자신이 daum.net 에 자주간다면... daum.net 사이트의 IP를 기재해 주면된다. 0.5초 정도는 빠를 것이다. 도메인명은 정확하게 기재하지 않아도 된다.


211.233.28.112      daum.net  ← 요런식으로...


위와 같이 자신만이 알아볼 수 있는 단어를 넣으면 된다. 그렇지만 너무 맹신하서는 안된다. 도메인은 바뀌는 일이 거의 없지만 IP가 바뀌는 경우는 가끔 있으니... 참고로 IP를 아는 방법은... ping을 보내보면 알 수 있다. 너무했나? ^^;

 

사용자 삽입 이미지